바레인100.00%카타르100.00%사우디아라비아100.00%아랍에미리트100.00%쿠웨이트99.70%아이슬란드99.69%노르웨이99.00%덴마크98.87%룩셈부르크98.66%브루나이98.08%대한민국97.57%말레이시아96.75%영국96.68%오만96.38%오스트레일리아96.24%뉴질랜드95.91%94.00%95.00%96.00%97.00%98.00%99.00%100.00%2022
바레인100.00%카타르100.00%사우디아라비아100.00%아랍에미리트100.00%쿠웨이트99.70%아이슬란드99.69%노르웨이99.00%덴마크98.87%룩셈부르크98.66%브루나이98.08%대한민국97.57%말레이시아96.75%영국96.68%오만96.38%오스트레일리아96.24%뉴질랜드95.91%96.00%98.00%100.00%2022

국가별 인터넷 보급률 - 1990-2022 인구 대비 인터넷 이용률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인터넷은 21세기 가장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매김하였다. 1990년대 초, 인터넷은 몇몇 선진 국가에서만 사용되던 희소한 기술이었으나,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 각 국가들은 그 중요성과 영향력을 깨닫게 되었다. 이 차트를 통해 지난 30년 동안 인터넷 보급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인터넷 초기의 발자취 (1990년)

1990년에는 인터넷의 보급이 초기 단계에 있었다. 미국은 0.78%의 인터넷 보급률로 선두를 차지하며 1위였다. 바로 그 뒤를 이어 노르웨이가 0.71%로 2위를, 스위스가 0.6%로 3위를 차지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세계의 대부분의 국가가 아직 디지털화의 초기 단계였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가 매우 적었음을 알수있다. 한국의 인터넷 보급률은 0.02%로 17위에 랭크되었다.

  1. 미국 : 0.78%
  2. 노르웨이 : 0.71%
  3. 스위스 : 0.60%
  4. 오스트레일리아 : 0.59%
  5. 스웨덴 : 0.58%
  6. 핀란드 : 0.40%
  7. 캐나다 : 0.36%
  8. 네덜란드 : 0.33%
  9. 오스트리아 : 0.13%
  10. 독일 : 0.13%

21세기의 인터넷 성장 (2000년)

10년 뒤인 2000년에는 인터넷 보급률이 크게 증가했다. 노르웨이는 무려 52.0%로 급부상하여 1위를 차지했고, 캐나다는 51.3%로 그 뒤를 바로 추적했다. 미국은 이 때 43.08%로 11위에 머물렀다. 이와 함께 한국은 놀라운 변화를 보였다. 1990년의 미미한 보급률에서 벗어나, 2000년에는 44.7%로 크게 상승하여 세계 8위에 이름을 올렸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10년 동안 인터넷은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1. 노르웨이 : 52.00%
  2. 캐나다 : 51.30%
  3. 산마리노 : 48.80%
  4. 뉴질랜드 : 47.38%
  5. 스위스 : 47.10%
  6. 오스트레일리아 : 46.76%
  7. 스웨덴 : 45.69%
  8. 대한민국 : 44.70%
  9. 아이슬란드 : 44.47%
  10. 네덜란드 : 43.98%

디지털 시대의 전성기 (2010년)

2010년에는 인터넷의 국제적인 확산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아이슬란드는 93.39%의 높은 보급률로 세계 1위를 차지했고, 노르웨이는 아슬아슬하게 2위에 머물렀다. 그 다음으로 네덜란드가 90.72%의 보급률로 3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이 시기에 83.7%의 보급률로 세계 11위에 위치했다. 1990년대 초반에 비해 굉장한 발전을 이루었고, 이는 한국이 정보통신 기술 분야에서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음을 나타낸다.

  1. 아이슬란드 : 93.39%
  2. 노르웨이 : 93.39%
  3. 네덜란드 : 90.72%
  4. 룩셈부르크 : 90.62%
  5. 스웨덴 : 90.00%
  6. 덴마크 : 88.72%
  7. 핀란드 : 86.89%
  8. 영국 : 85.00%
  9. 버뮤다 : 84.21%
  10. 스위스 : 83.90%

현재 (2022년)

2022년에는 더욱 놀라운 변화가 있었다. 중동 국가들이 인터넷 보급률의 최전선에 서게 되었다. 바레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그리고 아랍에미리트가 모두 100.0%의 완벽한 보급률을 기록하며 세계 1위를 공동으로 차지했다. 이는 중동 국가들의 디지털 전환과 정보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쿠웨이트가 99.7%로 5위에 올라, 상위 5개 국가 중 4개가 중동 국가였다. 한국은 이 시기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97.57%의 보급률로 세계 11위에 자리했다.

  1. 바레인 : 100.00%
  2. 카타르 : 100.00%
  3. 사우디아라비아 : 100.00%
  4. 아랍에미리트 : 100.00%
  5. 쿠웨이트 : 99.70%
  6. 아이슬란드 : 99.69%
  7. 노르웨이 : 99.00%
  8. 덴마크 : 98.87%
  9. 룩셈부르크 : 98.66%
  10. 브루나이 : 98.08%

2022년까지, 세계는 빠른 속도로 디지털화되었고, 중동 국가들은 그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한때 인터넷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었던 나라들이 100%의 보급률을 기록하며 세계의 선두를 달리게 되었다는 것은, 기술과 정보의 힘을 활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1바레인100.00%2카타르100.00%3사우디아라비아100.00%4아랍에미리트100.00%5쿠웨이트99.70%6아이슬란드99.69%7노르웨이99.00%8덴마크98.87%9룩셈부르크98.66%10브루나이98.08%11대한민국97.57%12말레이시아96.75%13영국96.68%14오만96.38%15오스트레일리아96.24%16뉴질랜드95.91%

전체
국가랭킹
아시아 & 오세아니아
유럽
아프리카
스포츠
축구
경제
사회
문화
영화
여행
여자 축구 FIFA랭킹 2003년 부터 현재까지

여자 축구 FIFA랭킹 2003년 부터 현재까지

여자축구는 시작부터 현재까지 꾸준하게 성장하며 발전한 스포츠 분야 중 하나이다. 이 차트를 통해 수년간의 전 세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랭킹을 확인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