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1,605이란1,561대한민국1,533오스트레일리아1,532사우디아라비아1,413카타르1,396이라크1,347아랍에미리트1,342오만1,334우즈베키스탄1,328중화인민공화국1,297요르단1,286바레인1,274시리아1,246베트남1,243키르기스스탄1,2291,0001,1001,2001,3001,4001,5001,6002023. 09.
일본1,605이란1,561대한민국1,533오스트레일리아1,532사우디아라비아1,413카타르1,396이라크1,347아랍에미리트1,342오만1,334우즈베키스탄1,328중화인민공화국1,297요르단1,286바레인1,274시리아1,246베트남1,243키르기스스탄1,2291,2001,4001,6002023. 09.

아시아 FIFA랭킹 순위 1992년 부터 현재까지

아시아 FIFA 랭킹 차트를 통해 지난 수년 간 아시아의 축구 대표팀들의 성장과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FIFA 랭킹은 각 국가의 축구 대표팀의 성적을 국제적으로 평가하는 주요한 지표로서, 이 차트를 통해 아시아 축구의 상승세와 하락세, 그리고 각 국가간의 경쟁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해볼 수 있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직후의 아시아 FIFA랭킹 (1998년 07월 15일 기준)

1998년 프랑스월드컵에는 대한민국, 일본, 이란 세국가가 진출하였지만 모두 조별예선에서 탈락했다. 그 후 집계된 랭킹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아시아에서 공동 1위를 차지하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이란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 대한민국 : 55 점 (21위)
  2. 일본 : 55 점 (세계랭킹 : 22위)
  3. 사우디아라비아 : 51 점 (33위)
  4. 호주 : 48 점 (38위)
  5. 이란 : 48 점 (37위)
  6. 태국 : 45 점 (46위)
  7. 중국 : 44 점 (49위)
  8. 쿠웨이트 : 44 점 (52위)
  9. 아랍에미리트 : 42 점 (58위)
  10. 카타르 : 38 점 (72위)

2002년 한일 월드컵 직후의 FIFA랭킹 (2002년 07월 03일 기준)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은 4위까지 오르며 아시아 FIFA 랭킹에서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일본은 16강 진출의 성과로 아시아 2위를 기록했다. 그 외에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등이 뒤를 이었다.

  1. 대한민국 : 664 점 (세계랭킹 : 22위)
  2. 일본 : 658 점 (24위)
  3. 이란 : 634 점 (33위)
  4. 사우디아라비아 : 623 점 (38위)
  5. 호주 : 552 점 (50위)
  6. 중국 : 549 점 (51위)
  7. 아랍에미리트 : 528 점 (61위)
  8. 태국 : 527 점 (62위)
  9. 이라크 : 507 점 (69위)
  10. 카타르 : 507 점 (70위)

2006년 독일 월드컵 직후의 아시아 FIFA랭킹 (2006년 07월 12일 기준)

2006년에는 호주가 16강에 진출하며 아시아 1위를 차지하였다. 이란과 일본은 조별예선에서 탈락하며 각각 2위 3위에 올랐다. 대한민국 또한 조별예선에서 탈락하며 아시아 5위를 기록하였다.

  1. 호주 : 738 점 (세계랭킹 : 33위)
  2. 이란 : 624 점 (47위)
  3. 일본 : 615 점 (49위)
  4. 우즈베키스탄 : 606 점 (50위)
  5. 대한민국 : 557 점 (56위)
  6. 카타르 : 420 점 (76위)
  7. 사우디아라비아 : 399 점 (81위)
  8. 오만 : 367 점 (86위)
  9. 이라크 : 350 점 (88위)
  10. 중국 : 343 점 (89위)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직후의 아시아 FIFA랭킹 (2010년 07월 14일 기준)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호주가 조별예선에서 탈락했지만 피파랭킹은 아시아 1위를 유지했다. 일본과 대한민국이 각각 16강에 진출하며 아시아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1. 호주 : 911 점 (세계랭킹 : 20위)
  2. 일본 : 768 점 (32위)
  3. 대한민국 : 660 점 (44위)
  4. 이란 : 522 점 (64위)
  5. 사우디아라비아 : 471 점 (68위)
  6. 바레인 : 460 점 (69위)
  7. 중국 : 393 점 (78위)
  8. 오만 : 374 점 (81위)
  9. 쿠웨이트 : 365 점 (85위)
  10. 우즈베키스탄 : 352 점 (87위)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직후의 아시아 FIFA랭킹 (2014년 07월 17일 기준)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일본, 이란, 대한민국, 호주 4개의 국가가 월드컵에 진출했지만 모두 조별예선에서 탈락했다. 일본이 아시아 피파랭킹 1위를 차지하였고, 이란, 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요르단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 일본 : 604 점 (세계랭킹 : 45위)
  2. 이란 : 563 점 (49위)
  3. 우즈베키스탄 : 523 점 (52위)
  4. 대한민국 : 501 점 (56위)
  5. 요르단 : 500 점 (57위)
  6. 아랍에미리트 : 466 점 (65위)
  7. 오만 : 443 점 (69위)
  8. 호주 : 397 점 (76위)
  9. 사우디아라비아 : 384 점 (78위)
  10. 팔레스타인 : 362 점 (85위)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직후의 아시아 FIFA랭킹 (2018년 08월 16일 기준)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이후, 아시아 국가 중 이란이 조별예선 탈락에도 불구하고 FIFA 랭킹에서 아시아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16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아시아 랭킹에서는 3위에 머물렀다.

  1. 이란 : 1,471 점 (세계랭킹 : 32위)
  2. 호주 : 1,431 점 (43위)
  3. 일본 : 1,392 점 (55위)
  4. 대한민국 : 1,387 점 (57위)
  5. 사우디아라비아 : 1,336 점 (70위)
  6. 시리아 : 1,328 점 (73위)
  7. 중국 : 1,320 점 (75위)
  8. 아랍에미리트 : 1,312 점 (77위)
  9. 레바논 : 1,304 점 (79위)
  10. 오만 : 1,288 점 (84위)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직후의 아시아 FIFA랭킹 (2022년 12월 22일 기준)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에서는 일본, 이란, 대한민국, 호주, 카타르 5개의 국가중 일본, 대한민국, 호주 3개의 국가가 16강에 진출하여 아시아 축구 최고의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 대한민국은 포르투칼, 일본은 스페인과 독일, 그리고 호주는 덴마크를 상대로 승리하며 아시아 축구의 저력을 보여줬다. 카타르 월드컵 직후 피파 랭킹에서는 일본이 아시아 1위를 기록하였다. 이란, 대한민국, 호주 등이 상위권에 위치하였다.

  1. 일본 : 1,593 점 (세계랭킹 : 20위)
  2. 이란 : 1,552 점 (24위)
  3. 대한민국 : 1,539 점 (25위)
  4. 호주 : 1,534 점 (27위)
  5. 사우디아라비아 : 1,438 점 (49위)
  6. 카타르 : 1,394 점 (60위)
  7. 이라크 : 1,342 점 (68위)
  8. 아랍에미리트 : 1,338 점 (70위)
  9. 오만 : 1,321 점 (75위)
  10. 우즈베키스탄 : 1,313 점 (77위)
1일본세계 19위1,6052이란세계 21위1,5613대한민국세계 26위1,5334오스트레일리아세계 27위1,5325사우디아라비아세계 57위1,4136카타르세계 61위1,3967이라크세계 69위1,3478아랍에미리트세계 70위1,3429오만세계 73위1,33410우즈베키스탄세계 75위1,32811중화인민공화국세계 80위1,29712요르단세계 84위1,28613바레인세계 86위1,27414시리아세계 93위1,24615베트남세계 95위1,24316키르기스스탄세계 96위1,229

전체
국가랭킹
아시아 & 오세아니아
유럽
아프리카
스포츠
축구
경제
사회
문화
영화
여행
아시아 FIFA랭킹 순위 1992년 부터 현재까지

아시아 FIFA랭킹 순위 1992년 부터 현재까지

아시아 FIFA 랭킹 차트를 통해 지난 수년 간 아시아의 축구 대표팀들의 성장과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FIFA 랭킹은 각 국가의 축구 대표팀의 성적을 국제적으로 평가하는 주요한 지표로서, 이 차트를 통해 아시아 축구의 상승세와 하락세, 그리고 각 국가간의 경쟁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해볼 수 있다.